-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379
[4단계 - Transaction synchronization 적용하기] 후유(김대동) 미션 제출합니다. #1234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Conversation
Walkthrough데이터베이스 연결 관리를 중앙화하고 DAO들의 외부 Pre-merge checks❌ Failed checks (1 warning)
✅ Passed checks (2 passed)
Thanks for using CodeRabbit! It's free for OSS, and your support helps us grow. If you like it, consider giving us a shout-out. Comment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1
Caution
Some comments are outside the diff and can’t be posted inline due to platform limitations.
⚠️ Outside diff range comment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28-38: releaseConnection 메서드에서 예외 처리 전략 개선 필수현재 코드의 세 가지 문제가 확인되었습니다:
finally 블록에서 발생한 close() 예외가 본래 예외를 가림 — JdbcTemplate (라인 149)에서 finally 블록 내에서 releaseConnection을 호출하므로, close 실패 시 try 블록의 원본 예외(DataAccessException 등)가 숨겨질 위험이 있습니다.
원인 SQLException이 전달되지 않음 — 동일한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을 사용하는 getConnection 메서드는
new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 ex)로 catch한 SQLException을 cause로 전달하지만, releaseConnection은 단일 인자 생성자만 사용해 디버깅 정보를 잃고 있습니다. 또한 "Failed to close JDBC Connection"은 "획득 실패"를 의미하는 예외명과도 의미가 맞지 않습니다.테스트 부재 — releaseConnection의 close 실패 시나리오를 다루는 테스트가 없습니다.
개선 방안:
- close 실패를 로깅하고 억제하거나, 기존 예외가 있다면 addSuppressed()로 부착하는 방식 검토
- SQLException을 cause로 전달하려면
new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 ex)형태로 수정- close 실패 케이스를 커버하는 테스트 추가
🧹 Nitpick comments (7)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1)
29-34: 비즈니스 로직이 동작하지만, 객체지향적 설계를 더 고민해볼 수 있습니다.현재
changePassword메서드를 보면 다음과 같은 절차적 스타일을 볼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조회
- 비밀번호 변경
- 사용자 업데이트
- 히스토리 로깅
이는 동작하지만, **객체지향 생활 체조 규칙 9번(Tell, Don't Ask)**을 생각해보면 개선의 여지가 있습니다.
생각해볼 질문들:
- User 객체가
changePassword를 호출받은 후, 스스로 히스토리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을까요?- 여러 단계의 작업을 서비스에서 조율하는 대신, 도메인 객체가 더 많은 책임을 가질 수 있을까요?
UserHistory를 생성하는 책임이 서비스에 있는 것이 적절할까요, 아니면 User가 자신의 히스토리를 생성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까요?이는 선택의 문제이며, 현재 구조도 충분히 합리적입니다. 하지만 도메인 주도 설계(DDD) 관점에서 도메인 객체가 더 풍부한(Rich) 모델이 될 수 있는지 고민해보시면 좋겠습니다.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2)
9-17: 인스턴스 변수가 객체지향 생활 체조 규칙 7번의 한계에 있습니다.현재 3개의 인스턴스 변수를 가지고 있는데, 자세히 보면:
userService: 실제 위임 대상dataSource: TransactionTemplate 생성에 사용transactionTemplate: dataSource로부터 생성됨 (16줄)질문:
dataSource와transactionTemplate중 하나만 보관하면 되지 않을까요?옵션 1:
transactionTemplate만 생성자에서 받기public TxUserService(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final TransactionTemplate transactionTemplate)옵션 2:
transactionTemplate을 매번 생성하거나 지연 초기화이렇게 하면 인스턴스 변수를 2개로 줄일 수 있고, 클래스가 더 응집력 있어집니다. 어떤 방식이 더 적절할지 고민해보세요.
30-35: 트랜잭션 콜백에서return null사용이 약간 어색합니다.
TransactionCallback<T>의 제네릭 타입 때문에 null을 반환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는 제네릭 인터페이스를 void 메서드에 사용할 때 생기는 불편함입니다.질문: void 작업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예:
TransactionCallbackWithoutResult)를 만드는 것을 고려해보셨나요? 이렇게 하면 null을 반환할 필요가 없어집니다.다만 현재 구현도 충분히 작동하며, 이는 개선 제안일 뿐 필수는 아닙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14-26: 트랜잭션 연동 의도는 적합. 경계 조건과 계약을 명시해 주세요.
- 바운드 커넥션 존재 시 재사용, 없으면 새 커넥션 생성 흐름은 JdbcTemplate와 잘 맞습니다.
- 다만, TransactionTemplate이 “같은 DataSource 인스턴스”로 bind/unbind를 항상 보장하는지 확인해 보셨나요? (ThreadLocal 키가 DataSource라서 참조 동일성이 중요합니다.)
- 이미 닫힌 커넥션이 바운드되는 상황을 어떻게 배제하실 계획인가요? isClosed 검증 대신 “트랜잭션 경계에서 닫히지 않는다”는 불변조건을 문서화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1)
5-12: 인터페이스로의 분리 좋습니다. 계약 명확화 몇 가지 제안
- findById 부재 상황을 예외로 처리할지(Optional 등으로) 계약에 명시해 둘까요? 호출 측 의도가 더 명확해집니다.
- save는 생성/수정이 혼재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용어(등록/수정 등)로 분리할 여지가 있을까요?
- changePassword의 createdBy는 “누가 변경했는가” 의미라면 네이밍(예: changedBy/actor) 재검토를, 그리고 규칙 3(원시값 포장) 관점에서 id/password/createdBy를 값 객체로 캡슐화해 검증/불변성을 내재화하는 방안도 고려해 보세요.
- 읽기/쓰기 분리(ISP) 관점에서 UserQueryService/UserCommandService로 나누면 테스트와 확장성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 트랜잭션 경계는 TxUserService가 담당한다고 이해했는데, 메서드별 트랜잭션 요구사항을 Javadoc 등으로 명시해 두면 팀 내 합의가 쉬워집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
44-46: 콜백 기반 단일 실행 경로로 수렴한 점 좋습니다중복이 줄고 책임이 명확해졌습니다(준비→바인딩→실행→매핑). 모든 퍼블릭 API가 execute 경로로 통일되었는지 테스트에서 호출 경로를 한 번 더 점검해 주세요. 추가로, PreparedStatementSetter/Callback의 실패 케이스(런타임 예외 포함)도 동일하게 포장되는지 확인을 권합니다.
Also applies to: 75-77, 120-122
153-166: 오류 컨텍스트 강화 제안현재 에러 로그는 스택만 남고, 래핑된 DataAccessException에는 SQL/컨텍스트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운영 트러블슈팅을 위해 최소한 SQL(파라미터는 비식별화)을 메시지나 로그에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셨나요? RowMapper 내부 예외도 동일하게 추적 가능한지 테스트로 보강하면 좋겠습니다.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12)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Dao.java(0 hunks)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1 hunks)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1 hunks)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1 hunks)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1 hunks)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MockUserHistoryDao.java(1 hunks)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2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5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1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Callback.java(1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1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1 hunks)
💤 Files with no reviewable changes (1)
-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Dao.java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String name→Name name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calcAmt→calculateAmount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클래스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Callback.java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MockUserHistoryDao.java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 Code graph analysis (7)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 (1)
UserHistoryDao(8-30)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config/DataSourceConfig.java (1)
DataSourceConfig(7-27)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DataSourceUtils(9-39)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8-59)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8-59)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DataSourceUtils(9-39)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1)
study/src/test/java/aop/stage1/UserService.java (1)
UserService(9-36)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1)
TransactionTemplate(11-50)
🔇 Additional comments (15)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3)
8-13: 유틸리티 클래스 설계가 적절합니다.추상 클래스에서 구체 클래스로 변경하고 private 생성자를 추가하여 인스턴스화를 방지한 것은 정적 유틸리티 클래스 패턴에 부합하는 좋은 설계입니다.
23-30: 리소스 바인딩 검증 로직이 잘 구현되어 있습니다.중복 바인딩을 방지하는 검증 로직이 추가되어 있어 안전합니다. 다만 한 가지 생각해볼 점이 있습니다:
현재
bindResource에서 중복 체크를 하고 있는데, 이 책임이 여기에 있는 것이 적절한지 고민해보셨나요? 호출하는 쪽(예: TransactionTemplate)에서 이미 트랜잭션 상태를 관리하고 있다면, 여기서의 검증은 방어적 프로그래밍일 수도 있고, 책임의 중복일 수도 있습니다.질문: 만약 동일한 DataSource에 대해 여러 트랜잭션을 중첩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어떻게 처리하실 건가요?
43-58: ThreadLocal 정리 로직이 메모리 누수를 잘 방지하고 있습니다.리소스 언바인딩 후 맵이 비어있을 때
resources.remove()를 호출하여 ThreadLocal을 정리하는 부분(54-56줄)이 특히 좋습니다. 이는 장기 실행되는 스레드 풀 환경에서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는 중요한 패턴입니다.예외 메시지도 명확하여 디버깅에 도움이 됩니다.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MockUserHistoryDao.java (1)
15-17: 테스트 목 객체가 프로덕션 코드와 일관성 있게 수정되었습니다.Connection 파라미터를 제거한 것은 DAO 계층에서 명시적인 연결 관리 책임을 제거한다는 설계 의도와 일치합니다.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 (1)
18-29: DAO의 책임이 더 명확해졌습니다.Connection 파라미터를 제거하고 JdbcTemplate에게 연결 관리를 위임한 것은 좋은 변경입니다. 이제 DAO는 순수하게 데이터 접근 로직에만 집중하게 되었고, 인프라 관심사는 JdbcTemplate이 담당합니다.
이러한 **관심사의 분리(Separation of Concerns)**는 코드를 더 이해하기 쉽고 테스트하기 쉽게 만듭니다.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2)
32-43: 비즈니스 로직 테스트가 명확합니다.AppUserService를 직접 사용하여 트랜잭션 없이도 비즈니스 로직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검증하고 있습니다. 테스트 의도가 명확하고 구조가 깔끔합니다.
45-61: 트랜잭션 롤백 테스트가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AppUserService를 TxUserService로 감싸서 트랜잭션 동작을 테스트하는 구조가 좋습니다. 이는 데코레이터 패턴을 활용한 것으로, 핵심 비즈니스 로직(AppUserService)과 트랜잭션 관심사(TxUserService)를 분리하는 설계를 잘 검증하고 있습니다.
Mock을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켜 롤백을 테스트하는 방법도 적절합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Callback.java (1)
1-7: 함수형 인터페이스 설계가 깔끔합니다.
@FunctionalInterface를 사용하여 의도를 명확히 했고, 제네릭 타입을 통해 다양한 반환 타입을 지원합니다. 이는 TransactionTemplate과 함께 사용될 때 람다 표현식을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간결하고 목적이 명확한 좋은 추상화입니다.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1)
8-16: 서비스 클래스 구조가 깔끔합니다.의존성이 2개로 제한되어 있고(규칙 7), 생성자를 통한 주입으로 불변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클래스의 크기도 적절합니다.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19-27: 트랜잭션 범위에 대해 고민해보셨나요?
findById와save메서드는 트랜잭션 없이 직접 위임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도된 설계인가요?생각해볼 점:
- 조회 작업(
findById)은 보통 읽기 전용 트랜잭션으로 실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save는 단일 작업이지만, 실패 시 롤백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현재는
changePassword만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되는데, 이것이 일관성 있는 정책인가요?일관성을 위해 모든 쓰기 작업에 트랜잭션을 적용할지, 아니면 복잡한 작업에만 적용할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4)
11-19: 템플릿 클래스의 구조가 깔끔합니다.단일 책임을 가지며, 의존성도 하나(DataSource)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클래스 크기도 정확히 50줄로 규칙 6번을 준수합니다.
21-36: 트랜잭션 실행 흐름이 잘 설계되었습니다.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활용하여 트랜잭션 관리의 공통 로직을 잘 추상화했습니다:
- 커넥션 획득 및 바인딩
- 자동 커밋 해제
- 콜백 실행
- 성공 시 커밋
- 실패 시 롤백
- finally에서 정리
칭찬할 점:
- 리소스 정리가 finally 블록에서 보장됩니다
- 예외를 DataAccessException으로 감싸서 일관된 예외 계층을 유지합니다
- 헬퍼 메서드로 분리하여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한 가지 생각해볼 점:
Line 26에서connection.setAutoCommit(false)호출 시 SQLException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리소스가 이미 바인딩된 상태에서 예외가 발생합니다. 현재는 catch 블록에서 처리되지만, 바인딩 후 설정 실패 시나리오를 고려하셨나요?
38-44: 롤백 실패에 대한 로깅 처리가 적절합니다.롤백이 실패하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이 중단되지 않도록 예외를 잡아서 로깅만 하는 것은 실무적으로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롤백 실패는 이미 원본 예외가 발생한 상황이므로, 롤백 실패 정보를 로그로 남기고 원본 예외를 전파하는 것이 맞습니다.
46-49: 정리 로직이 올바른 순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먼저 리소스 언바인딩 (
unbindResource)- 그 다음 커넥션 반납 (
releaseConnection)이 순서가 중요한데, DataSourceUtils가 바인딩 여부를 확인하여 커넥션을 닫을지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잘 설계되었습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1)
86-95: JDK 호환성 검증 완료: 리뷰 의견이 부정확합니다프로젝트의 빌드 설정을 확인한 결과, 리뷰 의견의 우려는 타당하지 않습니다.
List.getFirst()는 JDK 21에서 SequencedCollection과 함께 도입되었으며, 저장소의
jdbc/build.gradle설정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java { sourceCompatibility = JavaVersion.VERSION_21 targetCompatibility = JavaVersion.VERSION_21 }프로젝트는 JDK 21을 명시적으로 타깃하고 있으므로, 코드에서
results.getFirst()사용은 완전히 호환되며 컴파일 실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Likely an incorrect or invalid review comment.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2
🧹 Nitpick comment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1)
17-19: 생성자 구현이 깔끔합니다!DataSource를 주입받는 단순한 구조로 잘 설계되었습니다.
한 가지 고려해볼 점: dataSource에 대한 null 검증을 추가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방어적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1 hunks)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String name→Name name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calcAmt→calculateAmount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클래스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 Code graph analysi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DataSourceUtils(9-39)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8-59)
🔇 Additional comment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1)
38-44: 롤백 메서드 구현이 적절합니다!롤백 실패 시 예외를 던지지 않고 로깅만 하는 것이 올바른 접근입니다. 예외 처리 과정에서 또 다른 예외를 던지면 원본 예외 정보를 잃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Outdated
Show resolved
Hide resolved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0
♻️ Duplicate comments (1)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1)
48-51: 앞서 지적한 중복 코드가 여기에도 나타납니다.33-35번째 줄의 서비스 생성 로직과 동일한 패턴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유일한 차이점은
MockUserHistoryDao를 사용한다는 점이네요.이 중복을 해결할 때, 실제 DAO와 Mock DAO를 각각 사용하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어떻게 우아하게 처리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Nitpick comments (1)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1)
33-36: 중복되는 서비스 생성 로직을 발견했습니다.두 테스트 메서드(
testChangePassword,testTransactionRollback)에서 서비스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로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특히DataSourceConfig.getInstance()호출이setUp()메서드(23, 26번째 줄)와 각 테스트 메서드(35, 51번째 줄)에서 여러 번 발생하고 있네요.생각해볼 점:
- 이 중복을 줄이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 두 테스트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 공통 부분을 어디로 추출하면 좋을까요?
힌트:
- 두 테스트의 유일한 차이는
UserHistoryDao의 구현체(실제 vs Mock)입니다- 테스트 클래스의 인스턴스 변수나 헬퍼 메서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다만, 테스트마다 다른 의존성(Mock vs Real)을 주입해야 한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1)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2 hunks)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String name→Name name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calcAmt→calculateAmount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클래스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 Code graph analysis (1)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config/DataSourceConfig.java (1)
DataSourceConfig(7-27)
🔇 Additional comments (1)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1)
31-62: 전체적인 테스트 구조는 잘 설계되었습니다.두 테스트가 트랜잭션의 핵심 동작을 잘 검증하고 있습니다:
testChangePassword: 정상적인 트랜잭션 커밋 시나리오testTransactionRollback: 예외 발생 시 롤백 시나리오특히 Mock을 활용해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켜 롤백을 검증하는 방식이 좋습니다. TxUserService로 AppUserService를 감싸는 데코레이터 패턴도 트랜잭션 분리 관점에서 적절한 설계입니다.
추가로 고민해볼 점:
- 현재 테스트는 통합 테스트에 가까운데, 단위 테스트와의 경계를 어떻게 구분하고 계신가요?
- TxUserService의 트랜잭션 동작만을 독립적으로 테스트하려면 어떤 방식이 필요할까요?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0
🧹 Nitpick comments (5)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31-35: 조건 검사 로직의 가독성을 개선해보면 어떨까요?현재
releaseConnection메서드의 조건식이 한 줄에 여러 조건을 AND로 연결하고 있어, 각 조건이 왜 필요한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if ((connection == null)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onnectionTransactional(connection, dataSource))) { return; }다음을 고려해보세요:
- 각 early return 조건을 독립적으로 검사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 각 조건에 대해 의도를 설명하는 주석이나 메서드 추출이 도움이 될까요?
예를 들어, "트랜잭션에 바인딩된 커넥션은 여기서 반납하지 않는다"는 의도가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구조화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세요.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
146-154: 변수 초기화 패턴을 개선할 수 있을까요?
connection변수를null로 초기화한 후 try 블록에서 할당하는 패턴은 잠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Connection connection = null; try {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return doExecuteWithConnection(connection, sql, preparedStatementSetter, preparedStatementCallback); } catch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 ex)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ex); } finally {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nection, dataSource); }고려해볼 점:
- 만약
getConnection이 예외를 던지면,connection은 여전히null상태로finally블록이 실행됩니다. 이것이 의도한 동작인가요?releaseConnection이nullconnection을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이런 방어 로직에 의존하는 것이 좋은 설계일까요?- 연결 획득과 해제의 대칭성을 코드 구조로 더 명확하게 표현할 방법은 없을까요?
157-170: 메서드 네이밍에 책임이 잘 드러나고 있나요?
doExecuteWithConnection메서드명이 실제 책임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세요:
- 이 메서드는 단순히 "커넥션을 가지고 실행"하는 것 이상의 일을 합니다:
- PreparedStatement 생성 및 자동 종료
- SQL 로깅
- SQLException을 DataAccessException으로 변환
메서드가 하는 일과 이름이 일치하나요? 더 구체적인 이름으로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을까요?
또한 이 메서드는 현재
Connection을 매개변수로 받고 있는데, 이것이 이 클래스의 설계 의도와 맞는지 고민해보세요:
JdbcTemplate이DataSource를 필드로 가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메서드 간 커넥션 전달이 꼭 필요한가요,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구조화할 수 있을까요?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2)
47-64: 메서드가 너무 많은 책임을 가지고 있지 않나요?
unbindResource메서드를 보면 다음과 같은 여러 책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리소스 맵 존재 여부 검증
- 커넥션 존재 여부 검증
- 리소스 제거
- ThreadLocal 정리
- 에러 로깅
또한 에러 상황에서
null을 반환하는 것이 적절한지 고민해보세요:if (map == null) { log.error("Not bound resources map, key: {}", key); return null; }질문해볼 점들:
- 맵이 없거나 커넥션이 없는 상황은 정말 "에러"인가요, 아니면 정상적으로 처리 가능한 상태인가요?
- 호출자가
null반환값으로 무엇을 판단할 수 있나요?- 이 책임들을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하면 어떨까요?
**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와 규칙 6 (메서드 10줄 이하) 관점에서, 이 메서드가 하나의 추상화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지 검토해보세요.
10-68: 클래스의 책임 범위와 네이밍을 다시 생각해볼까요?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라는 이름이 현재 구현하고 있는 책임과 잘 맞는지 고민해보세요:현재 이 클래스는:
- DataSource별 Connection을 ThreadLocal에 저장/조회/제거
- 리소스 바인딩 생명주기 관리
하지만 "Synchronization"이라는 단어는 동시성 제어나 동기화를 연상시킵니다. 실제로는 "트랜잭션 리소스 매니저" 또는 "트랜잭션 컨텍스트 홀더"에 가까운 역할을 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질문해볼 점들:
- 이 클래스의 핵심 책임을 한 문장으로 설명한다면?
- "Synchronization"이라는 용어가 그 책임을 정확히 표현하나요?
- 만약 이름과 책임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이름을 바꿀 것인가요, 아니면 책임을 조정할 것인가요?
규칙 5 (축약 금지) 원칙을 넘어서, 이름이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참고: 이 네이밍은 Spring Framework의 동일 이름 클래스에서 따온 것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프레임워크에서 이 이름을 선택한 이유와 맥락을 이해하는 것도 학습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4)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5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1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1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1 hunks)
🚧 Files skipped from review as they are similar to previous changes (1)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String name→Name name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calcAmt→calculateAmount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클래스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 Code graph analysis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ore/JdbcTemplate.java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java (1)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5-18)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DataSourceUtils(11-43)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10-69)
🔇 Additional comment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66-68: 참조 동등성 비교가 의도한 동작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public static boolean isConnectionTransactional(final Connection connection, final 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connection == getResource(dataSource); }현재
==연산자로 참조 동등성을 비교하고 있는데, 이것이 의도한 동작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같은 트랜잭션 내의 커넥션인지 확인하려는 목적이라면, 참조 동등성 비교가 맞을까요?
- Connection 객체가 프록시나 래퍼로 감싸질 가능성은 없나요?
- 이 메서드명
isConnectionTransactional이 "같은 커넥션 인스턴스인가?"라는 구현 세부사항보다는 "트랜잭션에 속한 커넥션인가?"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참조 비교만으로 이를 보장할 수 있나요?현재 설계에서 Connection 객체의 동일성이 어떻게 보장되는지, 그리고 이 가정이 깨질 수 있는 상황은 없는지 검토해보세요.
|
@coderabbitai 해결된 코멘트는 resolve 처리 부탁해요. |
|
Tip For best results, initiate chat on the files or code changes. 🧩 Analysis chain🏁 Script executed: Length of output: 138 🏁 Script executed: Length of output: 1266 🏁 Script executed: Length of output: 2191 🏁 Script executed: Length of output: 1058 @eoehd1ek 네, 해결된 코멘트를 모두 resolve 처리했습니다! 총 3개의 리뷰 코멘트를 resolved로 표시했습니다:
모든 코멘트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 |
DongchannN
left a comment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안녕하세요 후유! 4단계 잘 구현해주셨네요 👍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부분 한 곳과,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은 질문 하나 남겨요!
해당 부분만 반영하면 좋을 듯 합니다. 고생 많으셨어요
| if ((connection == null) || | ||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onnectionTransactional(connection, dataSource))) {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isConnectionTransactional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조건 문에 해당하는 경우 로직을 종료시켰는데, 의도가 궁금합니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TransactionTemplate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JdbcTemplate 메서드 호출하는 트랜잭션 미사용 상황에서 바로 커넥션 자원을 정리하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트랜잭션이 사용되는 TransactionTemplate::execute에서는 다음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 트랜잭션 시작
- 로직 수행
- 커밋 또는 롤백,
- finally 구문에서 cleanup메서드 안에서 쓰레드 로컬의 커넥션 할당 해제 ( -> 트랜잭션이 종료됨을 의미함)
- finally 구문에서 cleanup메서드 안에서 커넥션 자원 정리
public <T> T execute(final TransactionCallback<T> callback) throws DataAccessException {
Connection connection = null;
try {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Resource(dataSource, connection);
connection.setAutoCommit(false);
final T result = callback.doInTransaction();
connection.commit();
return result;
} catch (Exception ex) {
rollback(connection);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ex);
} finally {
cleanup(connection);
}
}
private void cleanup(final Connection connection) {
if (connection == null) {
return;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unbindResource(dataSource);
restoreAutoCommitStatus(connection);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nection, dataSource);
}트랜잭션 사용 없이 바로 JdbcTemplate 메서드를 호출하면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이 과정에서 새로운 커넥션이 생성되고 응답받습니다.
따라서 커넥션을 반납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커넥션이 살아있습니다.
private <T> T execute(
final String sql,
final PreparedStatementSetter preparedStatementSetter,
final PreparedStatementCallback<T> preparedStatementCallback
) throws DataAccessException {
Connection connection = null;
try {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return doExecuteWithConnection(connection, sql, preparedStatementSetter, preparedStatementCallback);
} catch (CannotGetJdbcConnectionException ex)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ex);
} finally {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nection, dataSource);
}
}JdbcTemplate에서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에게 트랜잭션이 진행중인 커넥션 여부를 묻고 커넥션을 close 하기에는 불필요하게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를 알게 되는 것 같아 이를 줄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DataSourceUtils에게 커넥션을 받아오니, 커넥션 반납 또한 DataSourceUtils에게 위임했습니다.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JdbcTemplate에서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에게 트랜잭션이 진행중인 커넥션 여부를 묻고 커넥션을 close 하기에는 불필요하게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를 알게 되는 것 같아 이를 줄이고 싶었습니다.
각 클래스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좋을 지 고민을 많이하신 것이 느껴지네요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Outdated
Show resolved
Hide resolved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1
🧹 Nitpick comment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1)
53-61: cleanup 메서드의 안전성을 검증해봅시다.현재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unbindResource의 구현을 보면, 바인딩되지 않은 리소스에 대해 예외를 던지지 않고 에러 로그만 남기고 null을 반환합니다(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47-64번 라인 참조).시나리오 검증:
만약 27번 라인의
bindResource가 실패한다면?
- 58번 라인:
unbindResource는 에러 로그를 남기고 null 반환- 59번 라인:
restoreAutoCommitStatus실행됨- 60번 라인:
releaseConnection실행됨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의 동작을 확인해보셨나요?
- Connection이 트랜잭션 컨텍스트에 바인딩되지 않은 경우에만 close() 호출
- 따라서 bindResource 실패 시에도 connection이 적절히 해제됨
질문:
현재 구현에서 cleanup 작업들(unbind, restore, release)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데, 만약 58번 라인 또는 59번 라인에서 예외가 발생한다면 60번 라인이 실행될까요? 각 cleanup 작업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더 안전하지 않을까요?힌트:
unbindResource는 현재 예외를 던지지 않지만,restoreAutoCommitStatus내부의setAutoCommit은 SQLException을 던질 수 있습니다(63-69번 라인에서 catch 처리되고 있지만).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1 hunks)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1 hunks)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String name→Name name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calcAmt→calculateAmount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클래스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 Learnings (1)
📓 Common learnings
Learnt from: egaeng09
PR: woowacourse/java-jdbc#1181
File: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15-26
Timestamp: 2025-10-21T09:53:41.119Z
Learning: egaeng09의 java-jdbc 프로젝트에서는 도메인 모델의 순수성을 우선시하며, 도메인 객체가 JDBC와 같은 기술적 구현체에 의존하지 않도록 합니다. DAO 계층에서 도메인 객체의 getter를 사용하는 것은 계층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허용됩니다.
🧬 Code graph analysis (1)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DataSourceUtils(11-43)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10-74)
🔇 Additional comments (6)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2)
41-51: 롤백 처리 로직이 안전하게 구현되었습니다.Null 체크와 예외 처리가 적절히 되어 있어, 롤백 실패 시에도 안전하게 처리됩니다.
63-69: Auto-commit 복원 로직이 안전하게 구현되었습니다.SQLException을 적절히 처리하고 있으며, 로깅도 잘 되어 있습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4)
10-10: 추상 클래스에서 구체 클래스로의 전환이 적절합니다.
abstract class에서 일반class로 변경하고 private 생성자를 추가한 것은 좋은 개선입니다. 이는 유틸리티 클래스의 의도를 명확히 하며, 인스턴스화를 방지합니다.Also applies to: 16-17
36-45: 헬퍼 메서드 추출이 코드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getOrCreateResourceMap메서드를 별도로 추출하여 맵 생성 로직의 중복을 제거하고 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했습니다. 좋은 리팩토링입니다.
47-64: unbindResource의 예외 처리 방식 변경이 cleanup 안전성을 높였습니다.이전 구현에서 예외를 던지는 방식이었다면, 현재는 에러 로그를 남기고 null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는 cleanup 과정에서 더 안전한 동작을 보장합니다.
추가로 고민해볼 점:
- 60-62번 라인에서 맵이 비어있을 때
ThreadLocal을 제거하는 것은 메모리 관리 측면에서 좋은 처리입니다- 하지만 50번, 56번 라인에서 에러 로그만 남기고 null을 반환하는 것이 적절한가요? 호출자 입장에서 "리소스가 바인딩되지 않았음"을 null 반환으로 구분할 수 있을까요?
질문:
unbindResource가 null을 반환하는 경우는 두 가지입니다:
- 맵 자체가 null (49-52번 라인)
- 맵에 해당 키의 커넥션이 없음 (54-58번 라인)
호출하는 쪽(TransactionTemplate.cleanup)에서는 이 두 경우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요? 아니면 "정리 완료" 또는 "이미 정리됨"으로 동일하게 취급해도 될까요?
66-73: isConnectionTransactional 메서드 추가가 트랜잭션 관리를 명확하게 합니다.Connection이 현재 트랜잭션 컨텍스트에 바인딩된 것인지 확인하는 메서드입니다.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에서 사용되어, 트랜잭션 내부의 커넥션은 해제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책임이 명확하고 구현도 간결합니다.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Template.java
Show resolved
Hide resolved
DongchannN
left a comment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안녕하세요 후유! 이번 미션 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
후유 코드를 리뷰하면서 역할에 대한고민이나 각 클래스 간의 결합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신경 쓰는 등 많은 부분을 배운 것 같아요.
이만 머지하도록 하겠습니다!
| try { | ||
|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 ||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Resource(dataSource, connection); | ||
| originalAutoCommit = connection.getAutoCommit(); |
There was a problem hiding this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안녕하세요~ 차니!☺️
오랜만에 다시 뵙네요!
step4 미션 요구사항인 Transaction synchronization를 적용하여 JdbcTemplate 를 깔끔하게 보이도록 작성해봤습니다.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Resource, unbindResource 책임을 누구에게 둘지 고민이 많았어요.
서비스에 두면 서비스 개수만큼 중복 코드가 생기게 될 것 같아 또다시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사용해서 중복을 줄였습니다.
TransactionTemplate 이 클래스에 트랜잭션 시작, 커밋, 롤백 관련 코드가 모아져 있습니다.
또한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고, 단순 JdbcTemplate 메서드를 바로 호출하는 경우에 커넥션 반납 처리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 많았어요.
그래서 jdbcTemplate는 커넥션에 상태에 상관없이 DataSourceUtils에게 커넥션 반납을 위임 시키고,
DataSourceUtils는 트랜잭션이 없는 상태면 커넥션을 반납하도록 했습니다.
마지막 step4 리뷰도 잘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