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nversation

@sonjh919
Copy link

안녕하세요 칼리~!~! 😀 마지막까지 잘 부탁드립니다!!

@sonjh919 sonjh919 requested a review from 2Jin1031 October 27, 2025 08:19
@sonjh919 sonjh919 self-assigned this Oct 27, 2025
@sonjh919 sonjh919 added the step4 label Oct 27, 2025
@coderabbitai
Copy link

coderabbitai bot commented Oct 27, 2025

Walkthrough

UserService가 인터페이스로 추상화되고, 핵심 구현은 AppUserService로 이동했습니다. AppUserService는 UserDao와 UserHistoryDao를 주입받아 사용자 조회, 삽입, 비밀번호 변경 및 변경 이력 로깅을 수행합니다. 트랜잭션 관리는 TxUserService가 AppUserService를 래핑해 changePassword 호출을 수동으로 트랜잭션 경계(커밋/롤백, 커넥션 바인딩/해제) 안에서 실행하도록 담당합니다. 테스트는 AppUserService를 TxUserService로 감싸는 구성을 사용하도록 수정되었고, 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은 DataSource에서 직접 연결을 반환하도록 단순화되었습니다.

개요

  • UserService가 추상 인터페이스로 도입되었고, findById, insert, changePassword 시그니처를 노출합니다.
  • AppUserService가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며 UserDao와 UserHistoryDao를 통해 데이터 조작과 이력 기록을 처리합니다.
  • TxUserService가 데코레이터 형태로 AppUserService를 감싸 changePassword에 대해 명시적 JDBC 트랜잭션(커넥션 획득, 바인딩, 오토커밋 제어, 커밋/롤백, 자원 해제)을 수행합니다.
  • 단위 테스트들은 AppUserService를 TxUserService로 래핑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jdbc의 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은 더 이상 트랜잭션 바인딩을 수행하지 않고 DataSource.getConnection()을 직접 반환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Pre-merge checks

❌ Failed checks (2 warnings)
Check name Status Explanation Resolution
Description Check ⚠️ Warning PR 설명 "안녕하세요 칼리~!~! 😀 마지막까지 잘 부탁드립니다!!"은 변경 사항과 완전히 무관합니다. 이 설명은 리뷰어에 대한 인사말일 뿐 변경사항의 어떤 부분도 설명하지 않습니다. 트랜잭션 동기화 적용, 서비스 아키텍처 변경, 테스트 업데이트 등 변경사항의 어떤 측면도 언급하지 않으므로 평가 기준의 "완전히 무관한(completely unrelated)" 범주에 명확히 해당합니다. PR 설명을 변경사항과 관련된 내용으로 작성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예를 들어, 추가된 TxUserService의 목적, UserService를 인터페이스로 변경한 이유, 트랜잭션 관리 방식 등 주요 변경사항을 요약하는 설명을 포함하면 리뷰어와 향후 유지보수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Docstring Coverage ⚠️ Warning Docstring coverage is 0.00% which is insufficient. The required threshold is 80.00%. You can run @coderabbitai generate docstrings to improve docstring coverage.
✅ Passed checks (1 passed)
Check name Status Explanation
Title Check ✅ Passed PR 제목 "[4단계 - Transaction synchronization 적용하기] 링크(손준형) 미션 제출합니다."는 변경 사항의 핵심 목표와 명확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제목은 트랜잭션 동기화(Transaction synchronization)를 적용하는 것이 주요 목표임을 명확하게 전달하며, 이는 TxUserService 클래스 추가와 서비스 구조 변경으로 구현된 주요 변경사항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팀 동료가 커밋 히스토리를 스캔할 때 이 PR의 주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Thanks for using CodeRabbit! It's free for OSS, and your support helps us grow. If you like it, consider giving us a shout-out.

❤️ Share

Comment @coderabbitai help to get the list of available commands and usage tips.

Copy link

@coderabbitai coderabbitai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0

🧹 Nitpick comments (2)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2)

33-61: 메서드의 복잡도를 낮춰볼 여지가 있습니다

changePassword 메서드가 여러 책임을 담당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커넥션 획득 및 바인딩
  • auto-commit 설정 관리
  • 비즈니스 로직 실행
  • 커밋/롤백 처리
  • 리소스 정리

다음 질문들을 고려해보시면 어떨까요?

  1. 이 트랜잭션 관리 로직이 다른 서비스에서도 반복될 가능성이 있나요?
  2. 트랜잭션 실행의 "틀"과 실제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할 수 있을까요?
  3. 중첩된 try-catch 블록(Lines 46-50, 53-57)의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은 없을까요?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관점:

  • 규칙 1 (들여쓰기 depth): 현재 try-catch-finally 안에 다시 try-catch가 중첩되어 있어 복잡도가 높습니다
  • 규칙 6 (메서드 크기): 29줄로 권장 크기(10줄)를 상당히 초과합니다

💡 힌트: "Template Method 패턴"이나 "Transaction Template" 같은 추상화를 고려해보면, 트랜잭션 관리 로직을 재사용 가능한 형태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실제 업무 로직만 파라미터나 콜백으로 전달하는 방식이죠.

이런 리팩토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

  • 트랜잭션 로직의 재사용성
  • 각 메서드의 복잡도 감소
  • 테스트 용이성 향상

As per coding guidelines


37-40: 변수 초기화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Line 37에서 originalAutoCommitfalse로 초기화했지만, 실제 값은 Line 39에서 connection.getAutoCommit()으로 설정됩니다. 초기값 false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독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 중 어떤 방식이 더 명확할까요?

  1. 초기화 없이 선언만 하기
  2. try 블록 바깥에서 미리 실제 값을 조회하기
  3. 현재 구조를 유지하되 주석으로 의도 명시하기

각 방식의 장단점을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

As per coding guidelines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Commits

Reviewing files that changed from the base of the PR and between cc41b22 and 16b0c93.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5)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1 hunk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hunk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1 hunks)
  •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2 hunks)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hunks)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

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

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 String nameName name

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

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 calcAmtcalculateAmount

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 클래스

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 Code graph analysis (4)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 (1)
  • UserHistoryDao (8-32)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config/DataSourceConfig.java (1)
  • DataSourceConfig (7-27)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 DataSourceUtils (11-46)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8-42)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1)
study/src/test/java/aop/stage1/UserService.java (1)
  • UserService (9-36)
🔇 Additional comments (6)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15-26: 책임 분리가 잘 되었습니다!

DataSourceUtils가 이제 순수하게 커넥션 조회 역할만 담당하고, 트랜잭션 라이프사이클 관리는 상위 컴포넌트(TxUserService)에 위임하는 구조로 변경되었네요.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르고 있습니다.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java (1)

5-11: 인터페이스 추출이 적절합니다!

구체 클래스를 인터페이스로 변경하여 의존성 역전 원칙(DIP)을 잘 적용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구현체(비즈니스 로직 구현체, 트랜잭션 데코레이터 등)를 조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가 되었네요.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AppUserService.java (1)

8-35: 비즈니스 로직이 깔끔하게 구현되었습니다!

AppUserService가 순수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하고 있어 좋습니다. 특히 Line 31의 user.changePassword(newPassword)처럼 객체에게 행동을 요청하는 방식(Tell, Don't Ask)을 잘 적용하고 있네요. 인스턴스 변수도 2개로 적절하고, 각 메서드가 단일 책임을 갖고 있습니다.

app/src/test/java/com/techcourse/service/UserServiceTest.java (2)

32-46: 테스트에서 합성 패턴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로직(AppUserService)과 트랜잭션 관리(TxUserService)를 분리하여 조합하는 방식이 테스트에서 잘 표현되었습니다. 각 계층의 역할이 명확하고, 주석도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48-66: 롤백 시나리오 테스트가 잘 구성되었습니다!

트랜잭션 롤백을 검증하기 위해 Mock 객체를 활용한 접근이 좋습니다. 의도적으로 예외를 발생시켜 트랜잭션이 제대로 롤백되는지 확인하는 구조가 명확합니다.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22-30: 위임 로직이 깔끔합니다!

findByIdinsert 메서드가 내부 userService에 단순하게 위임하고 있어 데코레이터 패턴의 의도가 명확합니다.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Resource(dataSource, connection);

boolean originalAutoCommit = false;
Copy link

@2Jin1031 2Jin1031 Oct 29, 2025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originalAutoCommit 의 초기값을 false로 두신 이유가 있는 지 궁금해요!
Connection 객체 생성 시 autoCommit의 기본값은 true 이기 때문에, 변경 여부를 추적하기 위한 변수라면 true 초기화하는게 더 자연스러워 보여서요!

Copy link
Auth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네 저도 그게 맞는 것 같아요!!! 칼리 말대로 true로 수정하였습니다!!

Copy link

@2Jin1031 2Jin1031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step4 고생했어요 링크~

마지막 코멘트의 답변 확인해보고 싶어서 RC 한번만 걸게요
가볍게 한번 봐줘도 좋을 것 같아요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e);
} finally {
try {
connection.setAutoCommit(originalAutoCommi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만약 여기서 SQLException이 발생 시, unbind/release가 실행되지 않아서 리소스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할 것 같아요
리소스 정리가 누락되지 않을 방법을 고려해봐도 좋을 듯 합니다~

Copy link
Author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finally 블록 안에서 각각의 리소스 해제 작업을 개별 try-catch로 감싸서, 하나의 예외 발생이 나머지 해제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리팩토링하였습니다!!
수정 commit: 53a75d5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확인했습니다~
throw 하면 정리가 스킵될 수 있으니, 예외는 로깅으로 처리해서 흐름을 이어가는 방향도 있을 것 같네요
추후 시간 나시면 반영해보셔도 좋을 듯합니다

Copy link

@coderabbitai coderabbitai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1

♻️ Duplicate comments (2)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2)

37-37: originalAutoCommit의 초기값 설정을 다시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JDBC Connection 객체의 autoCommit 기본값은 true입니다. 만약 getAutoCommit() 호출 전에 예외가 발생한다면, 현재 코드는 false를 원래 값으로 복원하게 되는데 이것이 의도한 동작일까요?

실제 원래 값을 추적하려면 초기값을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더 안전할지 고려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53-67: finally 블록의 예외 처리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finally 블록에서 세 가지 작업(autoCommit 복원, 리소스 언바인드, 커넥션 릴리즈)을 각각 try-catch로 감싸고 있는데, 몇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1. 리소스 누수 위험: 만약 setAutoCommit()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그 시점에서 DataAccessException이 던져지고, 이후의 unbindResource()releaseConnection()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2. 예외 정보 손실: finally 블록에서 예외를 던지면 원래 catch 블록에서 던진 예외 정보가 사라집니다.

세 가지 정리 작업이 모두 실행되도록 보장하면서도, 예외 정보를 잃지 않을 방법을 고민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여러 정리 작업 중 일부가 실패하더라도 나머지는 계속 실행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Nitpick comments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32-69: 메서드가 너무 많은 책임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요?

현재 changePassword 메서드는 약 37줄로, 다음 책임들을 모두 처리하고 있습니다:

  • 커넥션 획득 및 바인딩
  • AutoCommit 설정 관리
  • 실제 비즈니스 로직 호출
  • 트랜잭션 커밋/롤백
  • 리소스 정리

객체지향 생활 체조의 **규칙 6 (메서드 10줄 이하)**을 참고하면, 이 메서드를 더 작은 단위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각 책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코드의 가독성과 테스트 용이성이 높아지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

  • 트랜잭션 시작 준비 로직
  • 트랜잭션 커밋 로직
  • 리소스 정리 로직

을 각각 메서드로 분리하는 방법을 고려해보세요.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Commits

Reviewing files that changed from the base of the PR and between 16b0c93 and 53a75d5.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1)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hunks)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

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

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 String nameName name

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

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 calcAmtcalculateAmount

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 클래스

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 Learnings (1)
📓 Common learnings
Learnt from: egaeng09
PR: woowacourse/java-jdbc#1181
File: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15-26
Timestamp: 2025-10-21T09:53:41.119Z
Learning: egaeng09의 java-jdbc 프로젝트에서는 도메인 모델의 순수성을 우선시하며, 도메인 객체가 JDBC와 같은 기술적 구현체에 의존하지 않도록 합니다. DAO 계층에서 도메인 객체의 getter를 사용하는 것은 계층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허용됩니다.
🧬 Code graph analysis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 DataSourceUtils (11-46)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8-42)
🔇 Additional comments (2)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2)

12-20: 데코레이터 패턴을 활용한 트랜잭션 관리 구조가 잘 설계되었습니다!

UserService를 감싸서 트랜잭션 책임을 분리한 점이 좋습니다. 의존성 주입을 통해 유연한 구조를 만들었네요.


22-30: 조회와 삽입 작업을 단순 위임한 설계가 적절합니다.

트랜잭션이 필요한 changePassword만 별도로 관리하는 선택적 트랜잭션 적용이 합리적이네요.

Comment on lines +33 to +35
public void changePassword(final long id, final String newPassword, final String createdBy) {
final Connection connecti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Resource(dataSource, connection);
Copy link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Potential issue | 🔴 Critical

🧩 Analysis chain

커넥션 획득 단계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요?

DataSourceUtils.getConnection()에서 커넥션을 얻은 직후 bindResource()를 호출하는데, 만약 bindResource() 과정에서 예외가 발생한다면 이미 획득한 커넥션이 정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커넥션 획득과 바인딩 과정도 리소스 관리 측면에서 안전하게 처리할 방법을 고려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트랜잭션 관리 및 커넥션 리소스 핸들링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

🏁 Script executed:

```shell
#!/bin/bash
# Retrieve the complete TxUserService.java file to verify transaction handling
fd "TxUserService.java" --type f

Length of output: 110


🏁 Script executed:

#!/bin/bash
# Examine the changePassword method and surrounding transaction management code
cat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Length of output: 2408


커넥션 획득 및 바인딩 단계에서 리소스 누수 위험 있음

현재 코드를 살펴보니 33-35번 라인의 우려가 실제로 존재합니다. DataSourceUtils.getConnection() 또는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Resource()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이미 획득한 커넥션이 37번 라인부터 시작하는 try-finally 블록에 도달하지 않아 정리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bindResource()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 커넥션은 이미 획득된 상태
  • try 블록에 진입하지 못함
  • finally 블록의 unbindResource()와 releaseConnection()이 실행되지 않음
  • 결과적으로 커넥션 누수 발생

개선 방향:
커넥션 획득과 바인딩 과정도 try-catch로 감싸거나, 이 로직을 기존 try 블록 내부로 이동시켜 반드시 finally 블록이 실행되도록 구조화하는 것을 고려해보세요.

🤖 Prompt for AI Agents
In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around lines
33-35, obtaining the Connection and calling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bindResource() are outside the try-finally and
can leak the Connection if an exception is thrown before the finally executes;
wrap the DataSourceUtils.getConnection(...) and bindResource(...) calls inside
the existing try block (or surround them with their own try/catch that closes
the Connection on failure) so that any exception during acquisition or binding
triggers the finally cleanup path (unbindResource and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 and guarantees the Connection is always
released.

Copy link

@coderabbitai coderabbitai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Actionable comments posted: 1

♻️ Duplicate comments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34-35: 커넥션 획득과 바인딩 시점에 리소스 누수 위험이 있습니다.

현재 커넥션 획득과 바인딩이 try 블록 밖에 있어서, 만약 bindResource()에서 예외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미 획득한 커넥션이 finally 블록에 도달하지 못해 해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민해볼 점:

  • 커넥션을 획득한 시점부터 반드시 해제를 보장하려면 어떤 구조가 필요할까요?
  • try 블록의 범위를 어떻게 조정하면 모든 예외 상황에서도 리소스 정리가 보장될까요?
🧹 Nitpick comments (2)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2)

33-69: 메서드가 너무 많은 책임을 가지고 있지 않나요?

changePassword 메서드가 37줄로,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중 "규칙 6: 메서드 10줄 이하"를 위반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메서드가 하는 일:

  • 커넥션 획득 및 바인딩
  • 트랜잭션 시작
  • 비즈니스 로직 실행
  • 트랜잭션 종료 (commit/rollback)
  • 리소스 정리

고민해볼 점:

  • 이 메서드를 더 작은 단위로 분리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 트랜잭션 시작, 종료, 정리 로직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테스트와 재사용이 더 쉬워지지 않을까요?
  • 각 단계를 명확한 이름의 메서드로 분리하면 코드의 의도가 더 명확해지지 않을까요?

Based on coding guidelines


33-33: 원시 타입과 문자열을 그대로 사용하고 계시네요.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중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에 따르면, long id, String newPassword, String createdBy 같은 원시값이나 String을 도메인 객체로 포장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long idUserId id
  • String newPasswordPassword newPassword

다만 이는 현재 미션의 범위를 넘어설 수 있으니, 향후 리팩토링 시 고려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Based on coding guidelines

📜 Review details

Configuration used: CodeRabbit UI

Review profile: CHILL

Plan: Pro

📥 Commits

Reviewing files that changed from the base of the PR and between 53a75d5 and 8641863.

📒 Files selected for processing (1)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1 hunks)
🧰 Additional context used
📓 Path-based instructions (1)
**/*.java

⚙️ CodeRabbit configuration file

**/*.java: ## 🎯 코드 품질 중심 리뷰 가이드라인

이 리뷰는 코드 품질과 객체지향 원칙에 집중합니다.
미션 달성 여부가 아닌, 코드 설계와 품질 개선에 대한 피드백을 한글로 제공해주세요.

📚 학습 원칙

  • 직접 코드를 제공하지 마세요 (학습자가 명시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제외)
  • 문제 해결 과정을 안내하되, 정답을 바로 알려주지 마세요
  • 작은 단계로 문제를 분해하여 접근하도록 도와주세요

💡 피드백 방법

  • 유도 질문 활용: "만약 ~라면 어떻게 될까요?", "~를 고려해보셨나요?"
  • 힌트 제공: 방향은 제시하되, 구체적인 구현은 학습자가 하도록
  • 다양한 접근법 제시: 한 가지 해결책이 아닌 여러 가능성을 제안
  • 왜?에 집중: 단순히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보다 왜 그런지 이해하도록

⚡ 객체지향 생활 체조 원칙 검토

다음은 객체지향 생활 체조(Object Calisthenics) 9가지 원칙입니다.
위반 시 학습 효과를 위해 반드시 피드백을 제공하되, 왜 이 원칙이 중요한지 설명해주세요:

규칙 1: 한 메서드에 오직 한 단계의 들여쓰기만

  • 들여쓰기 depth 최대 1 (중첩 제어구조 금지)
    • 📖 이유: 메서드 복잡도 감소, 단일 책임 원칙 강화
    • 💡 힌트: "이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추출하면 어떨까요?"

규칙 2: else 예약어 금지

  • else, switch/case 사용 금지
    • 📖 이유: 복잡한 분기 제거, 명확한 코드 흐름
    • 💡 힌트: "early return이나 가드 클로즈 패턴을 고려해보세요"

규칙 3: 모든 원시값과 문자열 포장

  • 원시 타입과 String을 객체로 포장
    • 📖 이유: 도메인 개념 명확화, 비즈니스 로직 응집
    • 💡 예시: int portPort port, String nameName name

규칙 4: 한 줄에 점 하나만 (디미터 법칙)

  • 메서드 체이닝 제한
    • 📖 이유: 결합도 감소, 캡슐화 향상
    • 💡 나쁜 예: request.getUri().getPath().substring()
    • 💡 좋은 예: request.extractPath()

규칙 5: 축약 금지

  • 명확한 이름 사용 (축약어 금지)
    • 📖 이유: 코드 가독성, 의도 명확화
    • 💡 예시: reqrequest, calcAmtcalculateAmount

규칙 6: 모든 엔티티를 작게 유지

  • 클래스 50줄, 메서드 10줄 이하
    • 📖 이유: 단일 책임, 이해와 테스트 용이성
    • 💡 힌트: "이 클래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있지 않나요?"

규칙 7: 인스턴스 변수 3개 이하

  • 클래스당 최대 3개의 인스턴스 변수
    • 📖 이유: 높은 응집도, 단일 책임 유지
    • 💡 힌트: "관련 필드들을 별도 객체로 묶을 수 있을까요?"

규칙 8: 일급 컬렉션 사용

  • 컬렉션을 감싸는 클래스 사용
    • 📖 이유: 컬렉션 로직 캡슐화, 불변성 보장
    • 💡 예시: List<HttpHeader>HttpHeaders 클래스

규칙 9: 게터/세터/프로퍼티 금지

  • Tell, Don't Ask 원칙 준수
    • 📖 이유: 진정한 캡슐화, 객체 자율성
    • 💡 나쁜 예: if (user.getPassword().equals(input))
    • 💡 좋은 예: if (user.authenticate(input))

🎯 추가 프로그래밍 요구사항

코드 스타일

  • Java Style Guide 준수
  • 3항 연산자 사용 금지

테스트 및 구조

  • **모든 기능 T...

Files:

  •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 Learnings (1)
📓 Common learnings
Learnt from: egaeng09
PR: woowacourse/java-jdbc#1181
File: app/src/main/java/com/techcourse/dao/UserHistoryDao.java:15-26
Timestamp: 2025-10-21T09:53:41.119Z
Learning: egaeng09의 java-jdbc 프로젝트에서는 도메인 모델의 순수성을 우선시하며, 도메인 객체가 JDBC와 같은 기술적 구현체에 의존하지 않도록 합니다. DAO 계층에서 도메인 객체의 getter를 사용하는 것은 계층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허용됩니다.
🧬 Code graph analysis (1)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2)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jdbc/datasource/DataSourceUtils.java (1)
  • DataSourceUtils (11-46)
jdbc/src/main/java/com/interface21/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java (1)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8-42)
🔇 Additional comments (4)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4)

17-20: 데코레이터 패턴 적용이 깔끔합니다!

UserService를 감싸서 트랜잭션 기능을 추가하는 구조가 잘 구현되었네요. 의존성 주입도 명확합니다.


22-30: 단순 위임 로직이 적절합니다.

조회와 삽입 작업은 트랜잭션 관리 없이 위임하고, changePassword만 트랜잭션으로 감싸는 전략이 명확하네요.


37-37: autoCommit 초기값 개선이 잘 되었습니다!

Connection의 기본 autoCommit 값이 true이므로, 초기값을 true로 설정한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이전 리뷰 피드백을 잘 반영하셨네요!


38-51: 트랜잭션 처리 로직이 올바릅니다.

autoCommit 저장 → 비활성화 → 작업 수행 → commit → 예외 시 rollback의 흐름이 정확합니다.

Comment on lines +52 to +68
} finally {
try {
connection.setAutoCommit(originalAutoCommit);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Failed to reset autoCommit", e);
}
try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unbindResource(dataSource);
} catch (IllegalStateException e)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Failed to unbind resource", e);
}
try {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nection, dataSource);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Failed to release connection", e);
}
}
Copy link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Potential issue | 🟠 Major

finally 블록에서 예외를 던지면 나머지 정리 작업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개별 try-catch로 감싸신 것은 좋은 방향이지만, 각 블록에서 throw new DataAccessException을 하면 다음 정리 작업들이 실행되지 않게 됩니다.

예를 들어 54번 라인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 unbindResource (59번 라인)가 실행되지 않아 ThreadLocal에 커넥션이 남음
  • releaseConnection (64번 라인)이 실행되지 않아 커넥션이 반환되지 않음

고민해볼 점:

  • finally 블록의 목적이 무엇일까요?
  • 정리 작업 중 하나가 실패하더라도 나머지 정리 작업은 계속 시도해야 하지 않을까요?
  • 예외가 발생했을 때 이를 기록하면서도 나머지 정리 작업을 계속 진행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힌트: 정리 작업의 모든 예외를 수집한 뒤, 마지막에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해보세요.

🤖 Prompt for AI Agents
In app/src/main/java/com/techcourse/service/TxUserService.java around lines 52
to 68, the finally block currently throws a DataAccessException from each inner
catch which prevents subsequent cleanup steps from running; change to collect
all exceptions instead: declare a local Throwable (e.g., cleanupException)
before the three try-catch blocks, in each catch set cleanupException if null or
call cleanupException.addSuppressed(e) otherwise, and do not rethrow
immediately; after all cleanup attempts, if cleanupException is non-null wrap it
in a DataAccessException and throw it (or log then throw) so all cleanup actions
run but failures are still reported.

Copy link

@2Jin1031 2Jin1031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링크~ 이번 미션은 여기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고생 많았어요

@2Jin1031 2Jin1031 merged commit 43fef41 into woowacourse:sonjh919 Oct 31, 2025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2 participants